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linux
- python
- algorithm
- Android
- mongoose
- OOAD
- MongoDB
- mysql
- DATABASE
- ubuntu
- node.js
- macos
- Network
- TypeScript
- S3
- HTML
- AWS
- Express
- React
- docker
- Scheduling
- css
- Kotlin
- postman
- sequelize
- Crawling
- OS
- Util
- wireshark
- typeorm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
반응형
thread (1)
반응형
SW

서론 최근에 파이썬으로 멀티쓰레딩을 구현하는 방법을 공부한 적이 있었는데 스레드의 개념이 머릿속에 확실히 정립되지 않았다. 작년에 운영체제 수업을 들으며 분명히 배운 기억은 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많이 까먹은 것 같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스레드, 멀티 스레드의 개념을 살펴보고 스레드가 가지는 특징들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스레드란 무엇일까? 스레드(thread)란 프로세스(process)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로 모든 프로세스는 한 개 이상의 스레드를 가지고 있다. 프로세스 내에서 2개 이상의 스레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 해당 프로세스는 멀티 스레드를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스레드의 정의를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스레드는 프로세스가 CPU로부터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Operating System
2022. 5. 7. 15:43